Absence
부재(Absence)
모든 사회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또 자연스럽게 생긴 단 하나의 사회가 가족이다. 과거 전통적 의미의 가족은 가부장적 제도의 성격을 지닌 보수적 형태였다. 이러한 가족은 아이들이 아버지에게 종속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가족은 많은 문제점을 도출해 왔다. 아나키스트의 입장에서는 가족이 모든 악의 근원이라고 보기도 한다. 가족 내에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지위를 누리게 된 것도 고작 수 십 년 밖에 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남성중심 권위주의의 상징이랄 수 있는 호주제가 폐지된 것도 불과 10년도 안 된 2008년이었다.
현대의 가족은 양성평등의 확산과 개인 자율화 존중 등으로 개방적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개방화와 함께 대두된 가족의 다양한 형태는 긍정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모습도 함께 드러내고 있다. 이혼에 대한 인식이 완화되고 가족의 집단성보다는 개인적 자율권이 중시되면서 가족의 해체가 우려할 만한 문제점이 아닌 당연한 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부모와 자녀 모두 구성원으로써 동등하게 여기지면서 예전보다 아이들이 부모에게 자신의 주장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면서 아이들과 부모의 의견차이로 인한 갈등이 훨씬 빈번해 지면서 많은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 여기에 주말부부나 기러기 아빠와 같은 사회문화적 현상까지 더해짐으로써 가족가치의 상실과 가족의 부재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작품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다중노출을 통해 표현되었다. 그들은 가족의 형식과 형상을 가지고 있으되 가족의 전통적 유대는 상실되고 부재한 상태인 것이다. 한 울타리 안에 공생하는 가족이라는 사회에서 우리는 소외되고, 고립되며 존재조차 상실해가고 있는 것이다. 가족 속에서 느끼는 가족의 부재는 더욱 공허할 수밖에 없다. 가족의 존재가 가족의 부재를 더욱 강하게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Love Equation
연애방정식(Love Equation)
사람은 누구나 남자로 태어나거나 여자로 태어난다. 그리고 그 둘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의 아픔에 공감하는 정도에서 확연히 차이가 나며, 자동차 주차능력에서는 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남녀의 모든 차이는 현대과학에서 공감능력과 체계화능력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남녀 사이에는 사랑과 갈등이라는 두 가지 사슬이 복잡하게 얽히는 것이다. 사랑과 갈등, 또는 질투와 같은 2~3가지의 감정적 변수를 양자역학 방정식으로 표현한다면 실제로 남녀 간의 사랑과 갈등을 표현하는 연애방정식이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사진으로도 남녀 간의 사랑과 갈등을 표현해 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단순한 동기에서 시작된 것이 이번 작품이다. 작업과정에서 남자와 여자의 감정은 조명을 이용하여 색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색과 색 사이에는 분명한 경계, 즉 선(line)이 생겼다. 여기서의 선은 이런 감정과 저런 감정을 구분하는 선이다. 화가 난 남자와 침울한 여자의 감정은 각기 붉은 색과 파란 색으로 표현되고, 그 사이에는 두 감정을 구분하는 선이 나타나는 것이다. 실연당한 여자가 떠나간 연인을 거울을 통해 바라보는 것 또한 현실의 색과 상상의 색으로 확연히 구분된다. 삼각관계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감정의 표현 또한 두 가지 감정색이 만들어 내는 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을 위해 필요한 무대를 모두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실제로 무대가 되는 방을 만들고, 주인공인 인형과 적절한 소품을 배치한 후에 암실에서 라이트페인팅 작업과 다중노출 작업을 통해 작품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외에도 암막필터와 같은 새로운 카메라 부품도 필요한 경우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만들어 진 연애방정식 시리즈는 사진처럼 눈앞에 보이는 이미지를 재현하는 작업이 아니라 회화처럼 내 상상속의 형상을 눈에 보이는 이미지로 창작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Kyoungsoo Kim
Photographer